프로그램노트: 굿 마더

프로그램 노트

‘자랑스러운 나의 자녀’가 알고 보니 성소수자라면 어떨까? 이 사실이 알려진 후에도 부모는 자녀를 계속 ‘자랑스러워’ 할 수 있을까? 시스젠더, 이성애가 ‘정상’인 사회에서 부모에게 자녀가 성소수자라는 것은 자녀의 모든 것을 부정하리만큼 크고 중대한 사건일 것이다.

영화 <굿 마더>는 자녀가 성소수자라는 사실을 온전히 받아들이기 위해 노력하는 엄마 수미의 고민을 담았다. 머리로는 성소수자 자녀를 지지하지만, 마음은 생각만큼 잘 움직이지 않는다. 성소수자인 자녀가 부모에게 커밍아웃을 결심하고 실행했을 때부터, 어쩌면 자녀의 정체성을 의심한 순간부터 부모의 ‘성소수자의 부모되기’는 이미 시작됐다. ‘성소수자의 부모 되기’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부모는 자녀를 부정하고, 의심하고, 무시하고, 원망하고, 포기하는 복잡한 마음을 통과한다. 성소수자인 자녀가 스스로 정체화하며 거치는 생각과 감정이 있듯이 그의 부모 또한 비슷한 과정을 겪는다.

그 과정에서 수미의 동료교사 박 선생은 수미의 세계를 더욱 흔들면서도 든든한 지지로 연대한다. 박 선생은 혼자 감당하기 버거워하는 수미 앞에 불시에 등장해 때론 웃음으로, 때론 통쾌한 말로 수미를 위로하고 응원한다. 박선생이 수미에게 엄지를 치켜올리며 만들어낸 연대의 파동은, 자녀가 일으킨 파동조차 뒤덮으며 부모의 세계를 위로한다.

한평생 나와는 관계없다고 여겼던 존재가, 내가 가장 가까이서 지켜봐 온, ‘내가 가장 잘 아는 사람’이었다는 사실. 그 사실은 부모의 세계를 뒤집을 만큼 커다란 충격을 일으킨다. 충격으로 부서지지 않고 ‘퀴어의 부모 되기’를 선택하는 사람들. 그들은 하나의 세상을 무너뜨린 충격을, 세상을 바꿀 파동으로 바꿔 간다.

 

서울인권영화제 프로그램 팀

13프로그램 노트

댓글

타인을 비방하거나 혐오가 담긴 글은 예고 없이 삭제합니다.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