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의 숨결 A Breath of Life

작품 줄거리

루치아노, 루치아나, 혹은 루시. 이탈리아의 최연장자 트랜스여성이자 전쟁 피해생존자이기도 한 루시는 90여 년의 기억을 풀어낸다. 루시의 이야기는 때로는 즐겁고, 때로는 고통스럽다. 이야기의 끝에서 그녀는 결코 지워지지 않는 기억의 공간인 다카우 포로수용소에 가기로 결심한다.

프로그램 노트

루치아노, 루치아나, 혹은 루시. 그녀가 보여주는 삶의 궤적은 이탈리아의 최연장자 트랜스여성이라는 수식 너머로 흘러 넘친다. <기억의 숨결>은 루시가 풀어내는 90여 년의 기억을 그대로 담아내며, 그 이야기를 듣는 그녀 주변인들의 표정과 응답, 손짓 하나하나까지도 섬세하게 쫓아간다.

90년이 넘는 기억의 무게는 얼마나 무거울까. 루시가 그녀의 기억을 곱씹고 꺼내어 펼쳐놓음으로써 우리는 또 하나의 세계를 마주한다. 루시의 이야기는 정제되지 않은, 그녀 자신의 언어로 발화된다. 가장 사적이면서도 가장 생생한 이야기. <기억의 숨결>의 관객들은 그 이야기의 기록자가 되는 순간을 경험한다. 

루시가 살아낸 생에는 성직자로부터의 성폭력, 성매매, 전쟁에서의 징병과 포로 생활 등의 기억들이 얽혀있다. 루시는 이 기억들을 ‘극복’했다고 하지 않는다. 이야기할 때마다 몸서리치기도 하며, 그 감정을 그대로 전한다. 루시의 이야기 속에는 루시가 어떻게 이러한 삶을 살아냈고 살아왔는지, 밀도 높은 역사가 담겨있다. 꾹 닫아놓아도 힘들 기억들을 루시는 어떻게 열어냈을까.

루시가 기억의 문을 여는 힘은 그녀 스스로의 강인함에도 있겠지만, 그녀 주위에서 삶을 함께하는 이들의 존재에 있기도 하다. 서로의 곁이 되어주며 돌봄을 나누는 이들의 목소리, 고갯짓 하나하나가 기억의 문을 여는 힘으로 다가온다.

그리고 이들의 모습을 보며 가만히 생각해본다. 우리는 어떤 이야기를 마주하며 사는가. 96세 트랜스여성의 삶을 그려본 적이 있었던가. 노년 퀴어의 얼굴을, 삶을, 그 속의 기억을 그려본 적이 있었던가. 당사자도, 주변인도, 우리는 쉽사리 노년의 기억에 대해 떠올리기 어렵다.

그러나 기억의 숨결이 나에게서 너에게로 전해질 때, 그렇게 나뿐만 아니라 우리에게 남아 흐를 때, 우리는 좀 더 미래의 기억에 대해 편안하게 상상해볼 수 있을 것이다. 그렇게 서로의 힘이 되자고, 기억의 문을 여는 힘이 되어주자고 그려본다.

서울인권영화제 프로그램 팀

인권해설

노동이 자유롭게 하리라. 30여 년 전쯤 다하우 강제수용소 기억공간에 갔을 때, 출입문 한가운데 달린 이 문구가 불러일으킨 감각이 생생하다. 들어갈 때도 기이한느낌이었지만, ‘안’을 다 둘러보고 나왔을 때 ‘바깥’은 너무나 낯설었다. 그곳에서 행해진 ‘노동’은 이해할 수 없었고, 내가 속해있고 알고 있던 인간이라는 종의 세계

는 하얗게 증발해버렸다. 내게 <기억의 숨결>을 본다는 것은, 루시와 함께 이 부조리한 경험을 다시 한번 역사 속 몸으로 복기하는 과정이기도 했다. 그런데, 그리고 루시는 96살의 늙은 트랜스젠더여성이고, 하여 이 몸의 과정은 조금 더 특수했고 그만큼 더 몸의 정치학이었다.

그가 말한다. ‘내가 이제껏 살아있다는 게 부조리하지 않은가? 나는 이미 그때 죽었는데? 내가 사는 건, 내 몸이 살아있기 때문인 것 같다.’ 다하우 강제수용소에서 ‘광기’의 현장을 목격한 그때, 죽은 시신을 수레에 싣고 소각로로 옮기는 노역을 한 그때, 그가 인간으로 알고 있던 정체성의 세계가 무너졌지만, 그는 인간으로 살아 남았다. 그의 몸이 이 역설을 실현해냈고, 역설은 두 종류의 역겨움 사이에서 진동했다. 다섯 살 꼬맹이었을 때 첫 성찬식을 앞두고 ‘성직자’에게 성폭력을 당한 역겨움에서 시작해 다하우의 광기에 끌려 들어간 역겨움이 있는가 하면, 여성의 몸으로 새로 태어난 그를 보고 ‘역겹다’고 말하는 사람들의 역겨움이 있다. 루시는 이 두 역겨움의 세계를 성실하게 몸으로 살아냈다. 영화는 <기억의 숨결>이 아니라 <기억의 몸결>이다.

<기억의 숨결>은 96세 트랜스젠더 여성의 ‘살아있는 몸’의 성실한 활동을 찬찬히 조목조목 보여준다. 그가 다하우에서 강제노역을 하게 된 것과 퀴어로서의 그의 정체성은 분리할 수 없이 연관되어 있지만, 루시의 역사적 삶을 증언하는 것은 명백하게 표현된 정치적 입장도, 퀴어 활동가의 면모도 아니다. 일상을 사는 몸이다. 사야 할 물건이 적힌 종이를 손에 들고 슈퍼마켓을 돌며 채소나 바나나를 고르는 몸. 화장실에서 소변을 보고, 세수를 하고 손과 얼굴에 크림을 바르고 머리를 빗고, 스프레이를 뿌리는 몸. 자고 난 뒤 순서대로 침대를 정리하는 몸. 손님을 맞기 위해 요리하고 식탁보를 새로 깔고 냅킨을 정렬하는 몸. 시디나 비디오를 찾아 기기에 넣고 의자에 앉아 듣는 몸. 그의 살아있는 몸은 다하우에서의 ‘노동’ 이후 부서진 (그의, 인간 종의) 시공간을 어떻게든 다시 잇고 지탱한다. 아마도 지난 75년 동안 매번 마지막 부서짐의 절벽 앞에서 천천히 그를, 인류의 세계를 다시 조합했을 것이다. 뽀드득 소리가 들릴 정도로 컵의 물기를 다부지게 닦아내는 그의 손에서 나는 살아있는 그의 몸, 부서진 현대사를 지탱하고 있는 그의 몸을 확인한다. 아름답고 강건하다.

“이 손이 무슨 짓을 한 거지?” 고통과 역겨움이 가득한 얼굴로 그는 묻는다. 그의 손은 다하우에서 죽거나 채 죽지 않은 사람을 불덩이에 밀어 넣는 일을 했고, 손님에게 성적 서비스를 팔거나 애인을 사랑하는 일을 했다. 자신과 다른 이들을 먹이며 돌보는 일을 했다. 유년기의 성폭력도, 트랜스젠더 여성으로 섹스를 파는 일도, 인간종의 광기도 그의 ‘살아있는 몸의 힘’을 파괴하지 못했다. 그는 유머와 관대함이 있는 트랜스젠더‘할머니’가 되었다. 그가 단 한 번도 입 밖에 내서 말하지 않았지만, 역겨움과 비통함 사이에서 퀴어 세계의 비규범적 통쾌함이 지그재그로 이어지는 평범한 일상 내내 ‘퀴어 프라이드’가 발산하고 있었다. 그의 몸을 이동시키는 수

단은 자동차에서 보행기로, 그리고 휠체어로 바뀌었지만, 그는 몸의 이동을, 몸으로 하는 ‘트랜스, 즉 거스르기’를 멈추지 않을 것이다. 다하우를 다시 찾은 그는 ‘인간의 의지가 지배하는 이 땅에 계속 남는 건 별로 좋은 것 같지 않다’고 말하지만, 그의 살아온 삶의 역사와 함께 ‘우리’는 역설의 화법으로 응대한다. 이 땅에 계속 남아 날마다 몸으로 다른 젠더의, 다른 섹슈얼리티의, 다른 노동의, 다른 자유의, 다른 해방의 역사를 살아내자고요. 이제까지 그래왔던 것처럼.

김영옥 (생애문화연구소 옥희살롱)


생애문화연구소 옥희살롱 okeesalon.org
옥희살롱은 연구활동가들이 모여서 아프고 나이 들고 돌보고 돌봄받는 일의 사회문화적 의미를 새롭게 질문하고, 여성주의 인권의 관점에서 대안을 모색하는 곳입니다. 다양한 연령대가 호혜적으로 연대하는 사회를 지향합니다.

2925회 서울인권영화제기억의 문을 열다

리뷰

영화를 함께 보는 사람과 나누고 싶은 말을 남겨주세요. 가장 기억에 남는 대사도 좋습니다.

리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