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해설: 국회를 점거하라

인권해설

2014년 3월 18일에 발생한 대만 국회(입법원) 점거는 참여자들마다 입장, 이념, 심지어는 요구안까지 상이했다. 그렇기 때문에, 이 투쟁을 이해하는 방식도 각자 다르다. 해바라기운동(太陽花運動), 318운동, 학생운동, 서비스무역협정 반대운동. 이 운동이 어떤 호칭으로 불리건, 어떤 이념을 담았다고 판단하건 간에 모두가 동의하는 명제가 있다고 믿는다. 바로 이 섬에 사는 사람들의 정치에 대한 상상은, 이 운동을 계기로 천지개벽할 정도로 변했다는 점이다.

과거 대만은 오랜 세월 계엄 하에 있었다. 당시 권위주의 정권은 다양한 방법으로 사회에 불만을 표하는 사람들과 정적(政敵)들을 제거했다. 심지어는 일반 국민도 피해를 입은 경우가 있어, 나이가 있는 대만인 대다수는 정치를 기피하는 태도를 보인다. 이들은 정치와 조금이라도 관련되면, 생명이 위험할 수도 있다는 두려움을 느껴왔기 때문이다. 이러한 두려움은 대만의 청년 세대에도 영향을 미쳐 청년들이 정치에 참여할 때 가족이 가장 먼저 이를 말리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정치에 대한 상상은 오랜 기간에 걸쳐 억눌려 다시 싹틀 기회도 없었다. 이러한 이유로 많은 대만인들은 그동안 정치를 자신과 관련 없는 영역이나 더러운 영역으로 여겨, 무관심한 태도를 보였다.

그러나 318 국회 점거는 정치에 참여한 적 없거나, 참여하는 방법을 모르던 이들을 ‘정치적인 장소’로 몰아넣었다. 그곳은 국회 점거 현장이기도 했고, 친구들과의 대화나 수업 내용이기도 했고, 심지어는 미디어에서 전해오는 소식이기도 했다. 대만 사회 전체가 굉장히 ‘정치적인’ 공간이 되었다. 이와 동시에, 오랫동안 억눌려왔던 정치적 역량이 318 국회 점거를 계기로 다시 피어나, 사회개혁을 목표로 하는 단체나 개인들은 정치 공간에서 서로의 의견을 공유하게 되었다. 이렇게 일순간에 대만 사회는 정치에 대해 서로 논쟁하는 분위기로 변모했다. 이를 원래 좋아했건, 반대했건, 관심이 없었건 관계없이, 도처에 ‘정치’가 있어 사회 구성원 모두가 타인과 의견을 주고받게 되었다.

혹자는 318을 계기로 우리 사회의 청년 세대가 각성한 세대가 되었고, 당국의 교육, 정치에 대한 무관심이라는 속박에서 해방되었다고 말한다. 더 나아가 이들이 대만을 더 나은 사회로 나아가도록 이끄는 세대로 변모했다고도 한다. 하지만 더 정확히 표현하자면, 나는 318이 ‘계몽’의 계기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어찌되었건 318은 우리가 첫 발걸음을 내딛게 만들어준 하나의 계기일 뿐이며, 이후에 나아갈 방향은 각자의 선택에 달려있다. 해바라기운동이 끝난 지 2년이 지난 지금, 어떤 참여자는 한 발 더 나아갔지만, 어떤 이는 그토록 타도하고 싶어 하던 그들의 편에 서 있다.

318 국회 점거는 단순한 사회운동이 아니라 성장의 과정이라고도 볼 수 있다. 318 이후로 2년이 지났지만, 성장의 고통은 아직도 대만 전역과 모든 참여자들을 휘감고 있다. 이 성장이 대만에 가져다 줄 결과가 어떨지 조금 더 지켜봐야 할 것이다.

 

우 보웨이 吳柏緯 (대만 독립언론인)

번역 세정 (서울인권영화제 자원활동가)

13인권해설

댓글

타인을 비방하거나 혐오가 담긴 글은 예고 없이 삭제합니다.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