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글라데시 출신 이주노동자들이 한국에 온 이유는 다양하다. 돈을 벌기 위해, 기술을 배우기 위해, 한국 문화를 경험하고 싶어서 머나먼 타지까지 왔다. 한국에 오기 위해 3~4년 동안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배웠다. 그러나 한국에 도착하는 순간 그들의 꿈은 깨진다. 그들이 어떤 사람인지, 한국에 오기 전에 어떤 삶을 살았는지는 무시된 채 ‘이주노동자’라는 이름으로만 인식된다. 피부색이 어둡고 한국어가 서툴다는 것, 한국보다 ‘못 사는’ 국가에서 왔다는 것은 비이주노동자와 다른 ‘2등 시민’으로 취급을 받는 이유가 된다.
이주노동자들은 한국에 오기 전, 각자의 나라에서 전문적인 교육을 받으며 한국에서 자신의 꿈을 펼칠 수 있는 기회를 잡기 위해 노력한다. 시험을 보고, 추첨이라는 불합리한 절차를 거쳐 한국행 비행기에 오를 수 있는 인원은 지원자에 비해 터무니없이 적다. 이 모든 과정을 거쳐 한국 정부가 요구하는 비자를 받아도, 동등한 인간으로 존중받지 못한다. ‘한국시민’과 ‘이주노동자’ 사이에는 큰 벽이 세워져 있다.
이들을 한국에서 일할 수 있게 하는 고용허가제(EPS)는 오히려 그들의 발목을 잡는 덫이 된다. 고용주의 말 한마디면 불법체류자로 전락하고, 구제를 위한 안전망은 전무하다. 고용주에게 시민성 박탈권을 주는 제도의 허점 때문에 온갖 횡포에 시달리게 된다. 열한 시간의 야간 노동, 임금 체불, 인격 모독, 주말 무급 노동 등 온갖 차별과 부조리에 시달린다. 사장한테 “나 힘들어요. 어떻게 일해?”라는 질문에 돌아온 답변은 “야 새끼야. 난 몰라”다.
한국 사회가 원하는 시민의 조건은 무엇일까? 그리고 시민의 조건이라는 것은 존재할 수 있는가? 일리야스, 라나, 슈몬, 그리고 이주노동자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사람들은 더 이상 가만히 있지 않는다. 자신의 목소리로 이주노동자에 대한 차별을 이야기하고, 고용허가제의 부당함을 폭로한다. 그들의 목소리로 일으키는 소란이, 한국 사회가 허락한 시민성으로 짜인 적막에 균열을 내고 있다.
댓글
타인을 비방하거나 혐오가 담긴 글은 예고 없이 삭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