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에서 온 편지 2 A Letter from the Sea 2

작품 줄거리

2014년 4월 16일 세월호 참사 이후 1년. 거센 시간의 흐름에도 잊힐리 없는 그 기억은 여전히 현재 진행형이다. 진상을 밝히고자 하는 마음과 더불어 살아남은 사람들의 삶은 변화한다. 잊지도, 가만히 있지도 않겠다는 다짐은 기억을 다시 이야기하게, 광장을 움직이게 한다.

-서울인권영화제 자원활동가 다희

감독

416연대 미디어위원회 (세월호참사국민대책회의 미디어팀)

416연대 미디어위원회 (세월호참사국민대책회의 미디어팀)

무엇을 어떻게 기억할것인가. 세월호참사 국민대책회의 미디어팀은 바로 이러한 질문에서 시작한 활동이다. 당신과 나, 그 사이에는 함께 건너야만 하는 통곡의 바다가 있다. 처음에는 이 바다를 바라보는 유가족들의 절망을 바라보았다. 하지만 더 이상 유가족들의 절망에 기대어 가는 갈 수 없음을 깨달았다. 그 바다는 애초부터 우리의 것이였기 때문이다.

인권해설

세월호가 침몰했다. 국가는 단 한 명도 구조하지 못했고, 304명이 희생되었으며 9명은 아직 돌아오지 못했다. 1년이 지난 지금도 사랑하는 사람들을 잃은 슬픔을 간직한 수많은 사람들이 여전히 길 위에있다. ‘왜’로 시작되는 수많은 질문들 중 한 가지도 속 시원히 밝혀진 것이 없기 때문이다. 세월호는 왜 침몰했는가? 세월호처럼 낡은 배를 운항하도록 허가하고, 더 이상 실을 수 없을 만큼 가득 물건들을 싣고서, 가장 기본적인 안전수칙도 몸에 배어 있지 않은 선원들에게 키를 맡긴 자들은 누구인가? 또, 목숨 앞에 ‘돈’을 흔들어대며 이 사람들을 모욕하는 자들은 누구인가?

이토록 천박한 국가의 맨 얼굴을 정면으로 마주 보며 진실을 덮으려는 권력에 맞선 사람들의 시간. 차곡차곡 흐르는 시간들 사이로 잊는 것이 두려운 기억들이 쌓여간다. 가령, 그 기억들은 이런 것들이다. 삶을 장담할 수 없었던 그 아비규환의 현장에서 ‘내가 살겠다고’ 다른 사람들을 밀치진 않았을지 죄책감에 시달리며 끊임없이 고통스런 기억 속으로 소환되는 생존자. 자기 자식에게 위험한 상황이 생기면 구명조끼를 입고, 가만히 있으라고 말했던 것이 아픈 기억으로 남은 엄마. 10센티 앞도 보이지 않는 뿌연 물속에서 손으로 더듬더듬 만져 가며 사람들을 건져 올렸던 민간잠수사들. 그들은 22년 전 서해 훼리호에서도 똑같은 일을 했었다.

이 영상에 담겨져 있고, 또 담겨야 하는 사람들을 하나, 하나 떠올려본다. 세월호가 ‘집’이었던, 그래서 지나온 삶의 흔적을 모두 잃어버린 어떤 사람, 세월호에서 2박 3일 일하고 15만 원을 받던 아르바이트생, 삶터에 자리를 내주고 따뜻한 물을 건넸던 인근 섬 주민들…. 그리고 지난 여름 세월호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며 서명한 500만 명이 넘는 시민들은 어떠한가. 세월호 참사의 결말은 훼손된 인간의 존엄을 회복하는 과정이어야 한다. 그들의 경험은 이 참사를 잊지 않고 행동하려는 기억들과 합해져 더 많은 사람들과 나누어질 것이다. ‘4.16 존엄과 안전에 관한 인권선언’을 만드는 힘은 여기서부터 출발한다. 그래서 4.16인권선언은 2014년 4월 16일에 세월호에 탄 사람들, 그리고 그날 타지 않은 사람들의 이야기다.

이은정(천주교인권위원회)

1420회 서울인권영화제기억, 이야기하다.

리뷰

영화를 함께 보는 사람과 나누고 싶은 말을 남겨주세요. 가장 기억에 남는 대사도 좋습니다.

리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