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가 괜찮은 건 아니다 모두가 괜찮은 건 아니다

작품 줄거리

난민쉼터의 홈리스 여성들을 촬영하고 십 년 뒤, 감독은 다시 그곳을 찾는다. 그는 십 년 전의 여성들 중 몇 명을 만난다. 그리고 유사한, 혹은 다른 삶과 경험을 지닌 새로운 이들을 알게 된다. 그는 그녀들의 일상과 정의를 위한 투쟁을 심혈을 기울여 그려낸다. 그녀들은 언젠가는 집이라고 불렀던 존재와 작별한 경험을 공유한다. 임시 공동체인 난민쉼터에서조차도 그녀들은 고통을 겪는다. 하지만 여기서 여성들은 발견해낸다. 격려의 말이 들리는 방법을, 아마도 연대를 아는 방법까지도.

감독

아라슈 리아히

1972년 이란 출생, 1982년부터 비엔나 거주. 작가, 감독 겸 프로듀서. 영화 & 예술 수학, 오스트리아 방송 협회 ORF에서 프리랜서로 일하는 중. 1997년에 영화 제작 회사인 Golden Girls Filmproduktion 설립, 다큐멘터리, 단편 및 실험 영화, 뮤직비디오, TV 광고 등으로 여러 번 수상. ARTE와 ORF와 합작한 The Soubenirs of Mr.X가 그의 첫 번째 다큐멘터리 영화. Wegafilm, Les Films du Losange와 만든 그의 첫 장편영화 For a Moment Freedom가 31개의 국제 영화제에서 수상, 2010 아카데미 시상식의 오스트리아 참가작품으로 선정됨. 오스트리아, 독일, 벨기에, 프랑스, 캐나다, 대한민국, 체코, 노르웨이,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등에서 상영. 2010년부터 오스트리아 방송 협회의 NIPKOW PROGRAMM Sources 2의 각본 고문단 및 코치로 일하고 있음, 2011년부터 픽션 및 논픽션 스토리텔링과 제작을 가르치고 있음.

인권해설

밥 먹고 설거지하고청소하고마당에서 담배 피우고식물을 기르고걱정하고 안아주고어디가 불편한지 물어보고중요하고 시시한 이야기를 하고 듣고농담하고 장난치고친구가 찾아와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여기는 ” 입니다안전한 집살아 있는 집웃음소리울음소리가 들리는 집그래서 자연과 같은 집긴장하지 않고 일상을 영위하는 집쉼터는 이런 곳입니다그런데 우리말로 쉼터라고 쓰고 읽으면 몸과 마음의 안식처라기보다 왠지 문제가 있는 사람들이 머무는 곳그래서 될 수 있으면 안 가는 게 좋은 곳으로 생각되지는 않은지요?

많은 사람들이 크고 작은 충격적인 경험을 하면서 살아갑니다그 경험은 몇 날 밤 자고나면 생각나도 별스럽지 않은 일이 되기도 하고강하지만 일시적인 스트레스로 왔다가 곧 사라지기도 하고기억의 저편에서 있다가 어느 사이에 눈앞의 생생한 고통이 되기도 합니다그래서 과거의 시간 속에 있는 그 경험그때의 감정은 현재의 나에게 어떻게든 영향을 줍니다같은 경험에도 사람에 따라 이렇게 다양한 모습들이 나타는 것은 왜 일까요성공적인 결과를 최고의 가치로 평가하는 의식이 보편적인 곳에서는그 경험을 한 사람의 의지가 약하거나 강해서 혹은 원래 현명하거나 바보 같아서 라고 말하는 예가 흔합니다그러나 이런 이유들은 트라우마 생존자의 치유를 어렵게 하는 선입견입니다.

중요한 것은 트라우마를 겪은 사람들이 자기가 속한 공동체와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는가 하는 것입니다그 트라우마가 발생하는데 책임이 있는 사람들이 자신의 잘못을 진심으로 인정하고 제대로 사과를 했는지공동체의 공적이고 사적인 관계에 있는 구성원들이 생존자의 고통을 인정하고 공동의 책임을 통감하는지생존자가 치유를 위해 노력할 때 그 노력을 적극적으로나 소극적으로나 지지하는지그래서 트라우마의 치유를 생존자 개인의 분투가 아니라 공동체의 과제로 인식하고 있는지그리고 유사한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다각도로 노력하는지 하는 것들 말입니다트라우마는 누구나 겪을 가능성이 있으며그 치유에는 이런 상호작용이 필요합니다.

그런데 가정에서친구들에게학교에서지역 사회에서고통을 인정받기는커녕따가운 곁눈질과 수군거림과 내버려둠이 온통 자신을 둘러 쌀 때생존자와 그의 생활 사이에는 커다란 절단이 발생할 것입니다이런 채로 시간마저 무심히 흐르면 그의 고유한 성격도정체성도 변할 것입니다그에게는 시간이 흐르는 것이 아니라 정지된 것처럼 느껴질 수도 있겠지요.

이렇게 이음새도 없이 끊어진 생존자의 생활과 공동체적인 관계는 회복되고 계속 이어져야 합니다끼니를 챙겨 먹고일하고친구와 우스갯소리를 하거나 다투고밤에 잘 자는 일상생활을 다시 이어가는 것과 치유는 서로를 도와줍니다생활을 연습하는 것연습을 통해 익숙해지고다시 자신의 삶을 사는 것그렇게 삶은 계속되어야 하지 않겠습니까그래서 트라우마 생존자들에게 쉼터는 삶의 과정 중에서 한 부분을 차지하는중요하지만 평범한 과정의 일부분일 것입니다서로 눈 마주치며 끊임없이 대화하고옆 사람 옷에 묻은 먼지를 털어주고시간이 흐르면서 스스로 자연과 같이 변하며 나아지는 곳입니다.

그런데 모든 것이 괜찮아진다는 것은 어떻게 된다는 것일까요트라우마를 경험하기 이전으로아무 일도 없었던 때로 돌아간다는 것일까요마음에 고통 한 점 없는 평화로운 상태가 된다는 것일까요강인한 의지와 굳센 신념으로 치유회복의 성공신화를 창조한다는 것일까요어떤 일에서 결과만 보고그것이 끝나기만을 기다리는 것은 트라우마 경험의 유무를 떠나서도 삶을 조급하게메마르게어리석게 만들기 쉽다는 생각이 듭니다삶은 계속되어야 하기에상처투성이 꿰맨 자국이그 이음새가 선명하더라도 계속 그 과정을 찬찬히 살피고 돌보며 이어 나아가는 것회복의 요체는 여기에 있을 것입니다그러니 모든 것이 괜찮지 않을 거라고(Everything will not be fine) 말할 수 있다면거기에 고개 끄덕일 수 있다면그것이 진정 괜찮은 것이 아닐는지요사족이지만선하고 약하고 부드러운 것은 아직 강한 것이 못된 상태이거나 강한 것이 되어야만 하는 미완성미성숙의 것이 아니라그 자체로 완성된 온전한 것이 아닐는지요.

홍혜선(트라우마치유공동체 사회적협동조합 사람.마음)

1519회 서울인권영화제삶의 공간

리뷰

영화를 함께 보는 사람과 나누고 싶은 말을 남겨주세요. 가장 기억에 남는 대사도 좋습니다.

리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