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 줄거리
감독 : 르난도 트루에바(스페인), 유세프 샤힌(이집트), 리히 판(캄보디아), 콜린 세로(프랑스), 폴커 쇨렌도르프(독일), 마티유 카소비츠(프랑스), 자코 반 도마엘(벨기에), 피에르 졸리에(프랑스), 파벨 룽괸(러시아), 베르트랑 타베르니에(프랑스)
제작 : 핸디캡인터내셔날 ·리틀 베어
<학살의 재조명>은 프랑스의 국제적 장애인 단체인 핸디캡인터네셔널과 베르트랑 타베르니에의 영화를 주로 제작한 리틀 베어가 대인지뢰반대 캠페인의 일환으로 만든 10편의 단편 영화이다. 핸디캡인터네셔널은 전세계 유명 감독 10인을 선정했고 베르트랑 타베르니에 감독이 제작을 총지휘했고, 우리에게는 <증오><암살자들>의 감독 마티유 카소비츠도 함께 작업했다. 이 영화는 오타와 정상회의 직전 세계 주요 TV에서 방송되었다.
감독
페르난도 트루에바(스페인) / 유세프 샤힌(이집트) / 리히 판(캄보디아) / 콜린 세로(프랑스) / 볼커 쉴렌도르프(독일) / 마티유 카소비츠(프랑스) / 자코 반 도마엘(벨기에) / 피이르 졸리에(프랑스) / 파벨 룽괸(러시아) / 베르트랑 티베르니에(프랑스)
인권해설
대인지뢰는 전세계 60여 나라에 1억 1천만개 가량 매설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대인지뢰로 인한 사상자는 연간 1만여명이 넘는다. 한반도의 비무장지대에도 약 백만개의 대인지뢰가 매설되어있다. 대인지뢰는 무차별성과 영구성 때문에 불법적인 무기가 되었으며 남녀노소, 군인과 민간인을 가리지 않고 무차별하게 피해를 준다. 그래서 대인지뢰를 눈이 없는 초병이라고 한다. 실제로 대인지뢰로 피해를 본 사람 가운데 여성과 어린이가 대다수이다.
베트남 전쟁에서 미군이 매설한 지뢰에 의해서 미군 병사가 피해를 본 것에서도 알 수 있듯이 대인지뢰는 적군과 아군을 가리지도 않는다. 그래서 대인지뢰금지운동은 인권운동이면서도 평화운동이다. 프랑스에서는 1차대전 때 매설한 대인지뢰를 아직도 완전히 제거하지 못했다. 전쟁이 끝나고 평화협정이 체결되면 전차나 소총은 철거했지만 대인지뢰는 전쟁이 끝나도 제거를 할 수 없다. 캄보디아, 앙골라, 보스니아 등 전쟁이 끝난 지역에서 여전히 피해자가 속출하는 것은 바로 이런 이유에서이다. 1997년 국제대인지뢰금지운동(ICBL)과 그 대표인 조디 윌리암스가 공동으로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고 1999년 3월 1일에 대인지뢰금지 협약이 국제법으로 발효되었다. 대인지뢰금지운동은 미국 등 강대국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민간이 중심의 단체들이 유엔과 각국 정부를 움직여서 만들어낸, 평화운동 그리고 인권운동의 멋진 성과이다. 그 결과 핵무기, 화학무기, 생물무기가 불법이듯이 이제 대인지뢰를 사용하는 것도 불법이 되었다. 그러나 한반도에서는 대인지뢰가 합법적으로 사용되고 있고, 미국이 대인지뢰금지협약에 가입하지 않는 것도 한반도의 분단을 핑계로 하고 있다. 한국 정부가 대인지뢰 금지협약에 가입하는 것은 한반도에서 평화와 통일을 이루고 인권을 신장하는 길이다.
<이창수 /민족회의>
리뷰
영화를 함께 보는 사람과 나누고 싶은 말을 남겨주세요. 가장 기억에 남는 대사도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