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 노트: 헤제이투

프로그램 노트

“제 집은 댐에서 20m입니다. 댐이 무너지면 제가 도망칠 수 있을까요?”

영화 <헤제이투>에서 가장 잔혹한 대목 중 하나. 언제 붕괴될지 모르는 댐 아래 지역이 ‘자력구제지역’이라고 불린다. 댐을 건설한 광산 대기업 발리는 대피로와 집결지를 만들고 모의훈련을 실시하지만, 댐이 붕괴된다면 댐에서 20m 거리에 사는 조앙은  대피로에 진입하기도 전에 목숨을 잃을 것이다.

브라질의 댐 사고는 1986년부터 시작되었다. 특히 광산 폐기물을 이용하여 건설하는 폐석댐은 붕괴 위험이 높다. 2015년에는 푼당댐이 무너져 19명이 진흙에 묻혀 목숨을 잃었고, 2019년에는 브루마지뉴의 폐석댐이 붕괴되어 272명이 희생되고 여러 마을이 완전히 파괴되었다. 발리는 두 번의 참사 이후에야 채굴 방식 재검토에 착수했다. 영화 속 미나스제라스 지역의 폐석댐 역시 붕괴 위험이 높지만, 정밀 조사 및 보완 조치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댐, 송전탑, 발전소, 공항. 사회기반시설이라고 일컬어지는 것들이다. 그러나 발리가 댐을 통해 채굴의 이윤을 극대화하듯이, 이러한 시설들은 반드시 공공을 위해서만 만들어지지 않는다. 개발 과정은 너무 자주, 자본의 이익을 우선으로 고려한다. 삶의 공간을 잃는 이들이 반드시 생긴다. 그 안에 깃든 일상과 관계도 파괴된다.

영화에서 기후활동가 마리아는 “수백 명의 목숨값”으로 열린 것은 광산 대기업 발리의 돈줄이라며, “가족이 생매장”되는 걸 목격한 상황에서 “경제회복은 문제가 아니”라고 말한다. 댐 아래는 여전히 ‘자력’으로 피난이 어려운 만 명의 사람이 살고 있다. 낯설지 않다. 댐은, 생명을 담보로 한 채 경제를 운운하는 자본은, 어디에나 있다.

 

– 서울인권영화제 상임활동가 고운

25프로그램 노트

댓글

타인을 비방하거나 혐오가 담긴 글은 예고 없이 삭제합니다.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