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 노트: 미래의 집

프로그램 노트

TV에서는 40만 개의 주택이 올라간다는 인공섬 란타우섬의 광고가 흘러나온다. 하지만 누구도 40만 개의 주택 중에 ‘내 집’이 있을 거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미래의 집>에서 “집다운 집”에 살아본 적 없다는 이들에게 홍콩은 독립을 쟁취해야 하는 터전이기 전에, 월세 60만 원으로 살 수 있는 곳이 없어 콘크리트 숲을 헤매야 하는 땅이기도 하다. 노인으로서, 퀴어로서, 여성으로서, 이주민으로서의 삶을 경험하는 공간이기도 하면서, 빈곤을 마주해야 하는 공간이기도 하다.

홍콩 아파트의 중위가격은 세계 1위다. 높은 빌딩만큼 거대한 자본이 장벽으로 서 있다. 평균적인 연봉을 받는 홍콩의 직장인은 20.9년 동안 월급을 한 푼도 쓰지 않고 모아야 간신히 살 곳을 마련할 수 있다. 세탁기를 놓을 수 있는 집의 가격은 그렇지 않은 집에 비해 다섯 배, 화장실이 있는 집의 가격은 화장실이 없는 집에 비해 열 배 높다. 이런 사회에서 빈부의 격차는 ‘부동산 대란’이라는 다섯 글자로는 담을 수 없다. 주거의 높은 벽은 관계를 쌓고 미래를 상상하는 일을 차단한다. 이러한 삶의 격차는 마침내 이들의 삶을 잠식한다.

그러므로 홍콩의 투쟁은 집이 없는, 집을 가질 수 없는 사람들의 투쟁이기도 하다. 홍콩의 거리를 채우고 경찰의 폭력에 맞서는 민중은 홍콩의 독립을 외치면서 “진정한 평등”을 느낀다. 차별에 맞서, 자본에 맞서 자유와 평화를 찾아오는 주체가 된다. 이 시대가 말하는 혁명이란 거대한 국가 권력을 무너뜨리는 것만은 아니다. 우리는 각기 다른 상황에서 무엇인가가 “없는” 사람으로 존재한 경험이 있다. 그런 우리가 독재로부터, 권력으로부터, 자본으로부터, 차별로부터 자유로운 존재로서 서로를 마주해야 한다고, 이 시대의 혁명은 외치고 있다.

서울인권영화제 프로그램 팀

3프로그램 노트

댓글

타인을 비방하거나 혐오가 담긴 글은 예고 없이 삭제합니다.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