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 노트: 딩동

프로그램 노트

장애란 무엇일까. 누군가는 이 물음에 “장애는 단지 조금 불편한 게 아닙니다. 열라 힘들어요.”라고 답한다. ‘장애인은 재활시설을 나와서는 제대로 살 수 없을까?’라는 질문에 사회는 고개를 저으며 반대하고 활동가들은 가능하다고 말한다. 그리고 여기, 지역 사회 안에서 절대 못 살 것 같은 장애인 당사자들의 증언이 있다. 친구들과 눈을 마주 보면서 웃음 짓고, 띄엄띄엄 글도 읽는 삶들이 있다.

사회에는 장애를 바라보는 여러 시선이 존재한다. 그중에는 장애인을 한없이 착한 존재로 상정하는 시선도 있고, 장애인의 존재를 부정하고 그들을 끊임없이 대상화하며 괴롭히는 시선도 있다. 장애인들은 늘 어떤 시선에 둘러싸여 왔다. 그 시선들은 대게 차별적이었고 장애인에 대한 프레임을 형성해 그들의 행동을 제약해왔다. ‘장애가 무엇일까’라는 질문은 매우 복잡한 문제지만, 사회는 너무나도 쉽게 그 답을 내린다.

<딩동>은 장애를 명시하지 않음으로써 그 답변을 거부한다. 그리고 이야기를 들어보라고 한다. 이야기는 쉽게 규정된 혐오에 저항하는, 긴 만남의 시작이다. 내가 “열라 힘든” 것도, 이 정체성이 나에게 중요하다는 것도, 나의 가족이 겪는 괴로움도 모두 내 삶이라 말하는 것. 혐오에 대항하는 ‘우리’의 서사는 장애를 제약이 아닌 삶의 이야기로 만든다. 같이 말해보는 것은 드러난 혐오를, 가려진 시선을 함께 말하는 일이다. 그리고 어쩌면 나도 모르고 있던 내 안의 혐오와 마주하는 일이다. 우리의 이야기가 시작된 이곳에 서로의 말을 듣는 것만으로도 소란이 생긴다. 소란은 모여서 저항이 된다. 우리의 저항은 지금 이 적막을 부술 것이다.

13프로그램 노트

댓글

타인을 비방하거나 혐오가 담긴 글은 예고 없이 삭제합니다.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