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 노트: 기억의 공간들

프로그램 노트

기억을 지키기 위해, 그리고 앞으로 나아갈 꿈을 위해 10년의 세월을 버티고 싸워온 공간들이 있다. 영화는 이 공간들을 돌보고 만들며 투쟁해온 사람들을 만난다.

광화문의 단식투쟁 천막에서 시작된 기억공간인 ‘기억의 빛’, 세 번이나 이전을 했지만 시민들의 힘으로 학생들의 흔적을 지켜낸 ‘기억교실’, 희생자들이 올라왔고, 가족들이 기다렸던 팽목항에 설치된 ‘팽목기억관’. 이 세 공간은 모두 ‘기억’이라는 단어를 포함하고 있다. 참사의 기억은 기록이 되고, 기록은 시민들에게 다시 기억을 남긴다. 이렇게 모인 애도의 기억들은 이와 같은 참사가 다시는 발생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이어진다.

그래서 기억과 추모의 공간은 시민들과 가장 가까운 공간에 있어야 한다. 이러한 취지로  4·16생명안전공원을 안산시의 화랑유원지에 조성하고자 한다. 시민들이 산책하고, 운동하며, 뛰어노는 공간에 4·16생명안전공원을 건립하는 것이다. 일상 속에서 세월호 참사를 기억하고, 왜 이런 일이 발생했는지, 안전사회는 어떠한 것인지, 그리고 자신의 꿈은 무엇인지 함께 감각하며 생각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에서이다. 그러나 2019년에 설립이 확정되었던 4·16생명안전공원은 지지부진한 행정으로 아직까지 미뤄지고 있다.

한마디로 ‘기억투쟁’이다. 영화 <기억의 공간들>은 이제 이태원과 오송 지하차도 참사를 마주한다. 사회적 참사와 재난이 계속되고 아픔이 반복되는 지금, 영화는 우리가 생각하는 진정한 애도와 안전사회에 대한 상상을 해보길 제안한다.

– 서울인권영화제 자원활동가 두부

15프로그램 노트

댓글

타인을 비방하거나 혐오가 담긴 글은 예고 없이 삭제합니다.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