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 노트: 기다림

프로그램 노트

그 어느 곳에서도 ‘집’을 갖지 못하고 이방인으로 존재하는 사람들이 있다. 아프가니스탄에서 덴마크로 도망쳐 온 록사르의 가족에게 고향은 다시는 돌아가고 싶지 않은‘악몽의 땅’이고, 6년이라는 짧지 않은 시간 동안 삶을 꾸려온 곳은 언제든지 그들을 다시 추방할 수 있는 ‘이국 땅’이다. 한 국가의 시민으로, 공동체의 구성원으로 ‘인정’받기 위해  끊임없이 기다려야 하는 삶은, 언제든지 이 곳에서 쫓겨날 수 있다는 불안이 지배하는 삶이다. 망명 허가를 내리지 않는 당국은 그들에게 ‘시민으로서의 자격’을 증명할 것을 끊임없이 요구하지만, 그 자격이 무엇인지조차 불분명하다. 정규학교를 다니면서 배운 덴마크어를 능숙하게 구사하고, 풋볼선수로 활약하면서 덴마크 사회에 자연스레 섞여들었으며, 아동권리협약에 의해 특별히 보호받는 록사르조차도 단단한 벽 앞에 무력하기는 다른 사람들과 마찬가지다. ‘내가 이 땅에 살고 있다’는 바로 그 이유만으로 ‘나의 존재’를 인정받는 것은 어려운 일이라는 것, 그리고 공동체의 구성원으로 환영받고 존중받는다는 확신이 없을 때 ‘나의 삶’을 온전히 꾸려나간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는 것을 영화는 여실히 보여준다.

서울인권영화제 프로그램 팀

14프로그램 노트

댓글

타인을 비방하거나 혐오가 담긴 글은 예고 없이 삭제합니다.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