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 노트: 공동정범

프로그램 노트

2009년 1월 20일, ‘용산참사’로 철거민 5명과 경찰관 1명이 사망한다. 살아남은 자들은 모두 공동정범으로 기소되어 수감되었다. 출소 이후 그들은 서로 다른 곳에서 각자의 삶을 이어간다.
남일당 건물이 있던 용산은 이제 사라졌지만 살아남은 자들의 기억과 감각은 여전히 망루 4층에 머무르고 있다. 그러나 죄책감으로, 의문으로, 공허함으로, 답답함으로…. 이들이 떠올리는 참사의 모습과 감정은 각기 다르다.
살기 위해 농성을 시작했고, 살기 위해 옥상으로 올랐다.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 망루 4층까지 오르게 했으며, 살고자 하는 본능이 망루 밖으로 뛰어내리게 했다. 그리고 살아남았다는 이유로 모두 “공동정범”이 되었다. 살았다는 죄책감은 질문을 멈출 수 없게 한다. 왜 불이 난 것일까. 왜 나는 살고 그들은 죽은 것일까. 나를 망루에 오르게 한 것은 무엇인가.
이들의 삶은 같은 기억을 가졌다는 것만으로도 계속해서 얽히고 부딪친다. 삶을 뒤흔든 ‘그날’의 기억을 공유할 유일한 동지가, 남보다 못한 서운한 사람이 되기도 한다. 누구에게 사건의 책임을 물어야 하는가? 놓이지 않는 이 물음은 결국 서로를 향해 던지는 날카로운 화살이 된다. 사건의 진실을 찾는 것이 우선이라는 주장과 사건이 낳은 상실을 먼저 회복해야 한다는 주장으로, 완전히 찢어지지도 완벽히 만나지도 못한 채 갈등은 계속된다.
투쟁의 과정에서 수많은 사람들은 ‘우리’가 되어 하나의 목소리로 외친다. 그러나 투쟁의 끝은 자신의 입장에 따라, 처한 현실에 따라 각자에게 다르게 경험된다. <공동정범>에 담긴 다섯 인물의 각기 다른 증언은, 투쟁과 연대라는 이름으로는 지워질 수 없는 ‘개인’을 깨닫게 한다. 그리고 투쟁 이후 뒤흔들린 ‘하나의 삶’들에 대해 고민하게 한다. 투쟁의 여파는 온전히 ‘개인’의 몫으로 남겨져야 하는 것일까? 그리고 ‘살아남은 자들’이 겨누고 있는 책임의 화살은, 언제쯤 이들의 손을 떠날 수 있을까?

23프로그램 노트

댓글

타인을 비방하거나 혐오가 담긴 글은 예고 없이 삭제합니다.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