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라는 춤춘다. 친구를 만난다. 운전한다. 휠체어를 타고 이동한다. 연애를 한다. 자신과 같은 몸을 가진 사람이 있는지 궁금해진다. 덜 외롭기 위해 자신과 같은 몸을 가진 사람들을 찾아나서는 프로젝트를 시작한다. 열심히 촬영하던 중 임신한 엘라. 낳기로 결정하고 출산한다. 아기에게 ‘리버’라는 이름을 지어준다. 잠깐! 나의 프로젝트는 끝나지 않았어! 엘라는 다시 사람들을 찾아 나선다.
엘라의 삶에서 자연스럽지 않은 것은 없다. 그냥 엘라의 삶이다. 하지만 엘라의 몸이 세상과 만날 때 엘라의 몸은 ‘자연스럽지 않은 것’이 된다. 누구는 수술을 권하고 누구는 엘라의 ‘그냥 사랑스러운 파트너’를 ‘히어로’라고 부른다.
인터뷰를 하며 관계 맺은 비슷한 몸을 가진 사람들이 모두 모여 각자의 경험을 이야기 하며 공감한다. 하지만 비슷한 몸을 가졌을 뿐, 모두 다른 삶을 살아왔다. 찰리의 엄마는 수술에 대한 생각을 이야기 한다. 큰 수술로 찰리의 어린 시절을 조금도 잃고 싶지 않고, 지금의 우리에게는 수술하지 않는 것이 최고의 선택이라고.
‘다른’ 몸을 가지고 있다면 수술을 통해서 교정해야 하는 걸까? 엘라는 ‘찰리는 지금 완벽하다고 말한다. 사회는 어떻게 하면 장애인을 비장애인과 비슷하게 만들 수 있을지, 혹은 비슷해 보이게 할 수 있을지 고민한다. 그 고민은 누구를 위한 고민인 걸까? 세상이 말하는 ‘정상적인 몸’은 다름을 이해하지 않는 비장애중심주의에 뿌리를 두고 있다.
엘라의 여정은 ‘이런 몸을 찾습니다’에서 시작했지만 사실 세상에 ‘이런 몸’, ‘나와 완전히 같은 몸’은 없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다양한 몸을 가진 사람들이 만나고 모든 몸이 고유하게 살아갈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일은 ‘모든 몸’ 의 몫이다.
– 서울인권영화제 자원활동가 요다
댓글
타인을 비방하거나 혐오가 담긴 글은 예고 없이 삭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