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노트: 파랑 너머

프로그램 노트

저항하다.

트랜스젠더는 존재 그 자체로 성별이분법, 가부장제에서 벗어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자신의 존재를 인정받기 위해서 사회에 저항해야한다. 닐은 행동하는 트랜스젠더다. 시민 등록제 반대, 성별 이분법 반대, 트랜스젠더의 권리를 위해 맞선다. 닐은 페미니스트다. 전통적인 남성성을 거부한다. 가부장제에 저항한다.

마주하다.

트랜스젠더는 트랜지션 중에 가족과의 갈등에 놓이기 쉽다. 신체의 변화가 눈에 띄기 때문에 숨길 수 없는 탓이다. 많은 부모들은 자식의 트랜지션을 부정하려고 한다. 자식이 정상성에서 벗어났음을 안타까워 하면서 자신의 처지를 한탄하고 연민한다. 

닐 역시 어머니와 갈등을 겪지만, 소통을 포기하지 않고 마주한다. 든든한 동료들과 함께.

살아가다.

트랜스젠더는 시스젠더가 되고싶은 사람들이 아니다. 젠더를 횡단하면서 많은 것을 느낀다. 트랜스젠더여서 시스젠더가 보지 못했던 것, 경험하지 못했던 것들이 있다. 이것이 트랜스젠더 프라이드의 자양분이 된다.

닐은 시스젠더로 태어나지 않은 것에 대해 아쉬워하지 않는다. 그 이상으로 자신이 트랜스젠더로 태어났음을 자랑스럽게 여기며 살아간다.

트랜스젠더는 수많은 정체성이 교차하는 존재다. 정체성의 교차 지점에서 끊임없이 고민한다. 닐은 계속해서 고민하면서 자신을 찾아간다. 닐이 여기까지 올 수 있었던 것은 혼자가 아니었기 때문이다. 그에겐 지지하고 연대해주는 친구들이 있다. 퀴어페미니스트로서의 믿음이 있다. 그렇기에 닐은 당당하게 자신을 말할 수 있다.

“이제 나는 내가 트랜스남성이라서 축복 받았다고 생각하니까.”

 

– 서울인권영화제 상임활동가 소하

11프로그램 노트

댓글

타인을 비방하거나 혐오가 담긴 글은 예고 없이 삭제합니다.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