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 위안부
일본은 식민지 또는 점령지의 13-18세 사이의 여성들 약 10-20만명을 강제로 취업을 시켜준다고 속여 군이 직접 나서거나 그리고 민간업자를 시켜서 강제적으로 모집한다. 그리고 군의 엄격한 통제하에 육체적, 정신적 고문을 가하면서 성노예 생활을 강요했고, 패전 후에는 이 여성들을 유기, 살상하였으며 기록을 없애 역사 속에 폐기처분하려 했다.
이제 한국, 필리핀, 대만, 인도네시아, 중국 등지에서 그 피해자들이 나서 과거청산을 요구하고 있다. 1990년 11월 국내에서 일본군 정신대 문제를 제기하며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가 발족한다. 정신대 문제가 밝혀지면서 진상규명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기 시작했고, 1991년 봄 피해자인 김학순 할머니의 첫 증언과 더불어 신고센터가 개설되어 많은 사례가 접수되기 시작했다. 1992년 1월 8일부터 시작되어 매주 수요일마다 일본 대사관 앞에서 진행된 수요시위는 10월 23일로 238차를 맞았다. 수요시위 등 정신대 할머니들과 정대협의 용감한 투쟁으로 1996년 4월 52차 유엔인권위에서는 일본정부의 법적 책임을 이행할 것을 권고하기에 이른다. 앞서 2월에는 ILO 전문가위원회에서 “일본군 위안부 제도가 성적 노예로 강제 노동을 금지하고 있는 ILO조약 제29호를 위반한 것이며, 일본 정부는 피해 여성들에 대한 보상을 정부 차원에서 해야 한다”고 의견을 모으게 된다.
하지만 일본 정부는 반성과 사죄는커녕 국민의 후원금으로 일본군 위안부들에게 위로금을 전달하겠다고 나서는데 이러한 ‘아시아평화국민기금’에 크게 반발하여, 1996년 10월 18일 「일본군에 의한 강제연행 ‘위안부’ 문제의 올바른 해결을 위한 시민연대」가 발족한다. 온국민의 힘으로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에 나선 것이다.
<인권운동사랑방>
댓글
타인을 비방하거나 혐오가 담긴 글은 예고 없이 삭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