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해설: 유어 턴

인권해설

우리 사회에서 청소년들의 저항은 어떻게 비춰지는가. 청소년들이 사회 문제에 참여하며 함께 목소리를 낼 때 우리 사회는 어떻게 반응하는가. 청소년들의 사회참여와 정치활동은 쉽게 칭찬할 일이 되거나 자주 의심받는다. “너무 기특하다”, “어른들이 미안하다” 등. 이러한 반응은 청소년들이 ‘어떤 목소리’를 내느냐에 따라 전혀 다른 반응이 되기도 한다. 주로 청소년들이 자기 자신의 권리를 주장할 때, 학교 안팎에서 청소년의 사회적 지위를 바꾸려는 도전할 때, “배후세력이 누구냐”, “선동당한 거 아니냐”와 같은 말들이 돌아온다. 청소년이 자기 목소리를 내는 활동은 ‘특별한 일’이라는 시선, 청소년의 시위와 저항은 그들의 ‘본분’에서 벗어난 일이라는 편견을 바탕으로 나오는 말들이다. 

 한국의 대다수 중고등학교에서는 지금까지도 ‘정치활동’, ‘동맹휴학’ 등을 징계 대상으로 명시하는 규칙을 갖고 있다. 단순 ‘무단결석’도 징계 사유가 된다. 학교의 운영 과정에 공식적으로 참여할 수 없으며 의견을 내기 위해 대자보를 붙이려면 학교장의 허가가 있어야 한다. 선거 연령은 만 18세로 낮춰졌지만, 여전히 청소년이 선거 기간에 선거운동을 하고 특정 후보를 지지하려면 처벌을 감수해야 한다. 

 청소년의 사회참여, 정치활동은 학생답지 않은 ‘일탈’로 여겨진다. 광장에서 민주주의를 외칠 때는 ‘기특한 존재’가 되지만 청소년이 정치활동을 하고 스스로 주체가 되어 참여권을 실천하려 할 때는 ‘처벌 대상’이 되는 셈이다. 이는 청소년의 어떤 행동을 두고 그 행동에 담긴 ‘내용’에 주목하기보다는 ‘청소년이 나섰다’는 식으로 주체에 관심이 쏠리는 현상과도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청소년들이 하고자 하는 이야기는 진지하게 받아들여지지 않는 것이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일어난 ‘기후를 위한 결석시위(‘School Strike for Climate)’가 한국에서도 열리고 있다. ‘청소년기후행동’ 등의 단체를 중심으로 점점 심각해지는 기후 위기에 정부가 책임 있게 응답하라며 청소년들이 거리로 나선 것이다. 하지만 앞서 말한 처벌 위험 때문에 청소년들은 학교를 결석하거나 수업을 거부하는 등의 단체 행동에 쉽게 나설 수가 없다. ‘결석 시위’에 참여한 청소년활동가들은 많은 시위 참여자들이 징계를 감당하거나 교사에게 허가를 받아야 했다고 말한다. 

 청소년들의 시위와 변화를 요구하는 목소리를 접하며 ‘기성세대’로서 책임감을 느낀다면 “대신 싸워줄게, 우리가 지켜줄게”보다는 “당신의 의견을 지지하며 나도 곁에서 함께하겠다”로 힘을 실어주는 게 어떨까. 청소년들의 어떤 주장에 대하여 “좀 과한 것 같은데”라는 생각이 든다면 은연중에 ‘어른들’이 허락하는 이야기만 해야 한다는 편견은 아닌지 돌아보면 어떨까. 청소년을 함께 변화를 만들어나갈 주체로 인정하고 존중할 때, 또 하나의 변화가 시작되는 것일지도 모른다. 우리는 모두 지금, 여기, 이 세상을 함께 살아가는 시민이니까.  

 

난다 (청소년인권운동연대 지음)

2인권해설

댓글

타인을 비방하거나 혐오가 담긴 글은 예고 없이 삭제합니다.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