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해설: 움켜쥔 땅

인권해설

<Good is not Good>

10년 뒤면 초콜릿을 먹을 수 없을지도 모른다. 카카오 농사를 짓는 농부들이 죽는다. 나이가 들어 죽는다. 카카오 나무도 그렇다. 더 이상 젊은이들은 카카오 농사를 짓지 않고, 나무를 새로 심지도 않는다. 카카오는 더 이상 돈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전 세계 카카오의 60% 이상은 가나와 코트디부아르 단 두 나라의 소농들이 생산하는데, 이들의 평균소득은 하루 1달러도 채 되지 않는다. 카카오의 수요는 늘어나는데 왜 가격이 오르지 않을까. 아마 그 이유의 열쇠는 카길과 베리칼리보와 같은 초국적기업들이 가지고 있을지도 모른다. 전 세계 카카오빈 거래량 400만 톤 중 80%를 단 8개 회사가 거래하고 있었는데, 그마저도 작년에 5개 회사로 줄어들었다.

카카오와 같은 주요 교역 농산물들은 식민지 역사와 궤를 함께 한다. 왜 카카오의 원산지인 남미보다 아프리카에서 더 많은 카카오가 재배되고, 커피의 원산지 아프리카보다 남미와 베트남에서 커피를 더 많이 생산하는지. 그 경로를 살펴보면 먹을거리를 둘러싼 피와 땀의 역사를 돌아볼 수 있다. 그리고 현대에 와서 어떻게 더 새롭게 재구성되고 있는지도 볼 수 있다.

교역 작물인 향신료, 카카오, 커피는 북반구에서 생산되지 않아서 남반구로 ‘아웃소싱’되어 재배된다. 축산이나 원예처럼 북반구에서 생산 가능한 것들도, 이제 열대지역의 온실에서 대규모로 아웃소싱 되고 있다. 에티오피아의 농민들은 자기 땅을 잃고 북반구 소비자들을 위한 토마토를 생산하는 농업 노동자가 되었다. 소농들은 스스로 자립할 수 있는 먹을거리를 생산하지 못하고 점점 설 자리를 잃고 있다.

이처럼 우리에게 ‘좋은 것’으로 인식되고 있는 것들 역시, 공급사슬의 끝에서는 좋은 것이 아닐 수도 있다. 대표적으로 두 가지만 언급하자면, 첫 번째로 석유를 대체하는 바이오 에너지로 각광받는 팜유가 있다. 팜유 생산을 위해 인도네시아의 열대우림은 1초에 축구장 2개 크기만큼 불태워진다. 이렇게 그곳의 생명체들이 갈 곳을 잃어간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두 번째로는 지속가능성 인증제도다. 여기서 인증은 단지 최저기준일 뿐으로, 초국적 기업들과 대규모 농장에 보다 유리하게 작용된다. 소비자들은 윤리적으로 올바르거나 좀 더 좋은 것을 소비하려 하기 때문에 생산자보다는 소비자를 위한 기준이 우선시된다. 결국 더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향으로 이 인증제도가 운영되는 것이다.

물론 공정무역은 소농을 위한 여러 가지 기준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여타의 지속가능성 인증과는 차별성이 있다. 그렇지만 여전히 생산자들의 생활을 향상시킬 정도에 이르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다. 1헥타르 남짓한 농사를 짓는 소농들은 인증 시스템의 근처에도 가기 어려운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소비자들은 인증 자체보다는 실제 거래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를 면밀히 감시할 필요가 있다. 브랜드나 마크에 현혹되지 않고, 포장의 이면을 바라보는 노력들을 하지 않는다면, 거대한 착취의 사슬 끝에서 의도치 않게 ‘피 묻은 초콜릿’을 먹게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너무 암울하다 하여 이도저도 똑같다며 선택을 포기한다면, 우리의 먹을거리를 생산하는 이들은 무너진다. 거대한 푸드시스템이 세계의 농부들을 무너뜨리고 있을 때 우리의 식탁은 과연 안전하다 할 수 있을까.

 

이하연 (전 아시아공정무역네트워크 사무국장/현재는 전북 순창에 귀농하여 텃밭을 가꾸고 있다.)

16인권해설

댓글

타인을 비방하거나 혐오가 담긴 글은 예고 없이 삭제합니다.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