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메리카의 유일한 사회주의 국가인 쿠바는 냉전 시대를 거치는 동안 미국과의 긴장된 관계를 유지해온 반면, 구소련과는 경제적, 군사적 동맹 관계를 맺고 있었다. 그러나 70년대 이후 불어닥친 세계적인 경제 불황과 태풍은 쿠바 경제의 핵인 사탕수수와 담배 산업을 마비시켰으며, 이후 1989년 구소련의 경제 원조 삭감 조처 등은 쿠바에 결정적인 악영향을 비쳤다.
1980년 1만명의 쿠바인들이 하바나에 있는 페루 대사관에 침입한 이래 계속되는 공장 노동자들에 대한 임금 체불과 공장 가동의 연료 부족, 모든 공공 기관의 서비스는 중단되고 폐쇄되는 상황은 쿠바인들의 탈출을 급증시켰는데 난민이 가장 많았을 때 쿠바는 전체 인구의 15%를 잃었다고 한다.
미국 해안가의 에스모르 보호소 등의 난민 수용소에서 쿠바인들은 최악의 처우와 세균과 해충에 방치되어 있다. 최근까지도 이런 상황은 계속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쿠바 난민들은 감옥같은 보호소에서 가혹 행위를 경험한 뒤 강제 추방되거나 절차상 문제를 이유로 본국으로의 송환도 거부당한 채 악몽의 시간들을 보내고 있다. 미국 해안 경계 부근의 보호소에서 받는 억울하고 부당한 대우로 인해 많은 쿠바인들이 끔찍한 가난과 본국의 처벌이 기다리는 데도 불구하고 그 쿠바행을 손꼽아 기다리고 있다.
미국은 공식적으로는 쿠바난민의 수용에 긍정적 입장을 유지하고 있었으나, 92년 이후부터 5만 명이 넘는 난민 행렬에 난색을 표명했고 미국으로 향한 ‘보트 피플’ 대부분을 되돌려보내거나 해상 봉쇄를 단행했다. 이같은 미국 행정부의 대응은 아이티로부터 온 1만4천명의 난민들에게 적용된 것과 같은 조처였다. 그러나 수많은 난민들의 생사를 건 미국행은 클린턴 행정부를 정치적 딜레마에 봉착하게 만드는 것이었는데 난민 탈출의 방관은 쿠바에 대한 미국의 경제적 금수 조치 철회를 유도하려는 카스트로의 정치적 전략으로도 이해된다.
<박의영/인권운동사랑방 자료실>
댓글
타인을 비방하거나 혐오가 담긴 글은 예고 없이 삭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