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해설: 버마 일기

인권해설

인권 후진국으로 잘 알려진 버마. 군사 정권은 이미지 개선을 위해 1989년 국명을 버마에서 미얀마 연합으로 변경했으나 이름을 바꾼다고 진실까지 덮을 수는 없는 법이다.

1988년 민주화 항쟁을 짓밟고 쿠데타를 통해 등장한 군부는 야당 지도자 아웅산 수지가 이끄는 민족민주 연맹이 90년 자유 총선에서 압도적인 승리를 거뒀음에도 이를 무시하고 폭력적으로 집권을 연장시켰다.

강권 통치의 주역인 국가법질서회복위원회(SLORC)에 의해 자행된 인권 유린은 1992년 유엔총회에서 결의안을 채택할 정도로 심각하다. 휴먼라이츠워치의 1994년 보고서는 1989년부터 1992년까지 약 수백 명의 사람들이 군사 법정에서 재판을 받고 감옥에 갇혔고, 감옥에선 고문이 공공연히 이뤄지고 있다고 전했다. 또 몬, 카렌, 샨 등 버마 전체 인구의 1/3을 차지하는 소수부족은 버마군의 이른바 무차별적 대반란군 진압 작전의 희생자가 되고 있다. 군부의 폭압을 피해 태국으로 국경을 넘는 난민의 숫자도 이루 헤아릴 수 없을 정도다.

한편 1988년 군부의 쿠데타 이후 버마를 탈출한 학생들은 버마학생민주전선(ABSDF)을 조직해 국경 지대에 있는 소수 민족과 연대해서 무장 투쟁을 전개하고 있지만 버마 정부군의 공세에 대처하기엔 역부족이다. 군사 정권은 반대 세력을 효과적으로 진압할 수 있는 군사력을 갖춘 데다 독자적 무역권을 미끼로 소수 부족과 하나씩 정전 협상을 맺어나감으로써 버마학생민주전선의 힘을 약화시키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버마의 미래가 비관적이지만은 않다. 그것은 민주화의 꿈을 버리지 않은 버마 민중들과 그들의 대변자와 같은 존재, 아웅산 수지가 있기 때문이다.

<이주영/인권운동사랑방 >

3인권해설

댓글

타인을 비방하거나 혐오가 담긴 글은 예고 없이 삭제합니다.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