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해설: 바다에서 온 편지 2

인권해설

세월호가 침몰했다. 국가는 단 한 명도 구조하지 못했고, 304명이 희생되었으며 9명은 아직 돌아오지 못했다. 1년이 지난 지금도 사랑하는 사람들을 잃은 슬픔을 간직한 수많은 사람들이 여전히 길 위에있다. ‘왜’로 시작되는 수많은 질문들 중 한 가지도 속 시원히 밝혀진 것이 없기 때문이다. 세월호는 왜 침몰했는가? 세월호처럼 낡은 배를 운항하도록 허가하고, 더 이상 실을 수 없을 만큼 가득 물건들을 싣고서, 가장 기본적인 안전수칙도 몸에 배어 있지 않은 선원들에게 키를 맡긴 자들은 누구인가? 또, 목숨 앞에 ‘돈’을 흔들어대며 이 사람들을 모욕하는 자들은 누구인가?

이토록 천박한 국가의 맨 얼굴을 정면으로 마주 보며 진실을 덮으려는 권력에 맞선 사람들의 시간. 차곡차곡 흐르는 시간들 사이로 잊는 것이 두려운 기억들이 쌓여간다. 가령, 그 기억들은 이런 것들이다. 삶을 장담할 수 없었던 그 아비규환의 현장에서 ‘내가 살겠다고’ 다른 사람들을 밀치진 않았을지 죄책감에 시달리며 끊임없이 고통스런 기억 속으로 소환되는 생존자. 자기 자식에게 위험한 상황이 생기면 구명조끼를 입고, 가만히 있으라고 말했던 것이 아픈 기억으로 남은 엄마. 10센티 앞도 보이지 않는 뿌연 물속에서 손으로 더듬더듬 만져 가며 사람들을 건져 올렸던 민간잠수사들. 그들은 22년 전 서해 훼리호에서도 똑같은 일을 했었다.

이 영상에 담겨져 있고, 또 담겨야 하는 사람들을 하나, 하나 떠올려본다. 세월호가 ‘집’이었던, 그래서 지나온 삶의 흔적을 모두 잃어버린 어떤 사람, 세월호에서 2박 3일 일하고 15만 원을 받던 아르바이트생, 삶터에 자리를 내주고 따뜻한 물을 건넸던 인근 섬 주민들…. 그리고 지난 여름 세월호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며 서명한 500만 명이 넘는 시민들은 어떠한가. 세월호 참사의 결말은 훼손된 인간의 존엄을 회복하는 과정이어야 한다. 그들의 경험은 이 참사를 잊지 않고 행동하려는 기억들과 합해져 더 많은 사람들과 나누어질 것이다. ‘4.16 존엄과 안전에 관한 인권선언’을 만드는 힘은 여기서부터 출발한다. 그래서 4.16인권선언은 2014년 4월 16일에 세월호에 탄 사람들, 그리고 그날 타지 않은 사람들의 이야기다.

이은정(천주교인권위원회)

25인권해설

댓글

타인을 비방하거나 혐오가 담긴 글은 예고 없이 삭제합니다.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