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인지뢰는 전세계 60여 나라에 1억 1천만개 가량 매설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대인지뢰로 인한 사상자는 연간 1만여명이 넘는다. 한반도의 비무장지대에도 약 백만개의 대인지뢰가 매설되어있다. 대인지뢰는 무차별성과 영구성 때문에 불법적인 무기가 되었으며 남녀노소, 군인과 민간인을 가리지 않고 무차별하게 피해를 준다. 그래서 대인지뢰를 눈이 없는 초병이라고 한다. 실제로 대인지뢰로 피해를 본 사람 가운데 여성과 어린이가 대다수이다.
베트남 전쟁에서 미군이 매설한 지뢰에 의해서 미군 병사가 피해를 본 것에서도 알 수 있듯이 대인지뢰는 적군과 아군을 가리지도 않는다. 그래서 대인지뢰금지운동은 인권운동이면서도 평화운동이다. 프랑스에서는 1차대전 때 매설한 대인지뢰를 아직도 완전히 제거하지 못했다. 전쟁이 끝나고 평화협정이 체결되면 전차나 소총은 철거했지만 대인지뢰는 전쟁이 끝나도 제거를 할 수 없다. 캄보디아, 앙골라, 보스니아 등 전쟁이 끝난 지역에서 여전히 피해자가 속출하는 것은 바로 이런 이유에서이다. 1997년 국제대인지뢰금지운동(ICBL)과 그 대표인 조디 윌리암스가 공동으로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고 1999년 3월 1일에 대인지뢰금지 협약이 국제법으로 발효되었다. 대인지뢰금지운동은 미국 등 강대국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민간이 중심의 단체들이 유엔과 각국 정부를 움직여서 만들어낸, 평화운동 그리고 인권운동의 멋진 성과이다. 그 결과 핵무기, 화학무기, 생물무기가 불법이듯이 이제 대인지뢰를 사용하는 것도 불법이 되었다. 그러나 한반도에서는 대인지뢰가 합법적으로 사용되고 있고, 미국이 대인지뢰금지협약에 가입하지 않는 것도 한반도의 분단을 핑계로 하고 있다. 한국 정부가 대인지뢰 금지협약에 가입하는 것은 한반도에서 평화와 통일을 이루고 인권을 신장하는 길이다.
<이창수 /민족회의>
댓글
타인을 비방하거나 혐오가 담긴 글은 예고 없이 삭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