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해설: 르완다 대학살

인권해설

한반도의 1/9밖에 안 되는 영토와 인구 7백만 명에 불과한 아프리카의 소국(小國) 르완다. 세계는 르완다를 끔찍한 학살과 내전의 나라로 기억한다.

94년 내전의 발발로 1백만 명이 학살되고 2백만 명의 난민을 떠돌게 된 르완다의 비극은 소수 종족(인구의 15%)인 투치족과 다수 종족(인구의 84%)인 후투족 간의 종족 분쟁의 결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제국주의 식민 통치의 잔재와 아프리카에 대한 서구의 이해 관계라는 측면을 무시하고 르완다 내전을 논하기는 어렵다.

1차 대전 이후 르완다를 식민통치한 벨기에는 소수족인 투치족에겐 특권과 지배를 보장해준 반면, 다수족인 후투족에 대해선 가혹한 세금을 부과하는 등 철저한 분리 통치 정책을 펼쳤다. 이 과정에서 증폭된 두 종족간의 갈등은 1990년 투치족 주도의 르완다 애국 전선과 후투족 정부간의 내전으로 치닫게 되었다. 93년 한때 내전이 진정 기미를 보이기도 했지만, 94년 4월 6일 하비아리마나(후투족) 대통령의 암살 사건을 계기로 내전은 다시 확대되기에 이른다. 내전을 통해 정권은 다시 투치족에게 장악됐고, 후투족들은 대거 국외를 떠도는 신세로 전락하게 되었다.

르완다 내전에서 프랑스는 친프랑스 정권인 후투족을 지원해 왔다. 프랑스의 목적은 아프리카에 대한 영향력을 유지하는 것이었으며, 이를 위해 하비아리마나 정부에 6백만 달러에 달하는 무기 구입 자금을 지원하기도 했다. 그러나, 하비아리마나의 독재에 불만을 느낀 후투족의 일부도 애국 전선에 참가하게 되었고, 94년 내전은 단순한 종족간 분쟁을 넘어 독재 정부에 대한 저항이라는 정치적 색채를 띠게 된다. 실제로 후투족 정부는 투치족과 후투족에 대한 구별없이 반정부 세력에 대해선 닥치는 대로 학살을 자행했던 것이다.

<이창조/인권하루소식>

2인권해설

댓글

타인을 비방하거나 혐오가 담긴 글은 예고 없이 삭제합니다.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