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해설: 기억의 장

인권해설

기억을 기록한다는 것은 ‘망각과 싸움’이다. 다들 알다시피 세상에 영원한 것은 없다. 인간도 기억도 기록도 마찬가지다. 그럼에도 어떤 이들은 기억되기를 바라고 어떤 이들은 심지어 불멸을 꿈꾼다. 입에서 입으로 전하는 이야기를 통해, 거대한 구조물과 초라한 비석을 통해, 그리고 기록을 통해 인류는 역사를 만들어왔다. 인간이 이루어질 수 없음에도 영원히 기억되기를 욕망하는 까닭은 자신의 존재, 자신의 행위, 자신의 삶이 의미 없지 않기를 바라기 때문일 것이다.

기억을 기록한다는 것은 ‘왜곡과 싸움’이기도 하다. 온전한 기억이란 없다. 개인의 성향,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 정치적, 시대적 상황에 따라 기억은 잊혀지기도 하고 입맛에 따라 편집되기도 한다. 굴절되고 변현(變現)된 기억을 고스란히 기록할 방법 또한 없다. 기억을 기록하는 것은 왜곡 없는 기억을 통해 진실에 다가서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무엇 때문에, 어떻게 기억이 왜곡되었는지를 통해 진실에 다가서고자 하는 노력이다. 기억이 기록되지 않는 한, 나의 기억이 우리의 기억이 되지 않는 한 어떤 불화나 갈등도 거기서 한 발자국도 나가지 못한다.  공동체는 기억의 공유를 통해 지속될 수 있다. 공유된 기억이 없는 공동체는 위험하다. 한편 하나의 기억만을 공유한 공동체, 단일한 기억만을 강요하는 공동체는 더욱 위험하다.

기억을 기록한다는 것은 ‘권력과 싸움’이다. 조지 오웰은 “과거를 지배하는 자는 미래를 지배하고, 현재를 지배하는 자는 과거를 지배한다”고 썼다. 박근혜 정부의 국정역사교과서 논란은 권력의 속성을 드러낸 것이며 역사와 교육이 기억의 정치 현장임을 보여준 ‘사건’이었다. 국가만이 아니라 어떤 공동체든 집단기억으로 무엇을 채택하고 공인할 것인가는 치열한 정치 투쟁이고 권력 다툼일 수밖에 없다. 우리는 120여 년 전 밭을 갈던 농민이 무슨 생각으로 전봉준 옆에서 죽창을 들었는지 알지 못한다. 3.1운동에서 민족대표 33인의 생각은 알 수 있어도 같이 태극기를 들었던 넝마주이의 생각은 알 길이 없다. 4.19의 희생자는 대학생보다 도시빈민의 비중이 압도적이었음에도 여전히 ‘학생의거’로 기억된다. 국가 권력에 의해 공인된 역사뿐만이 아니라 국가폭력의 피해자 담론 속에서도 소수자의 기억은 무시되고 배제되기 쉽다.

모잠비크 저항운동에 대한 기억을 기록한 <기억의 장>은 고통스러우면서도 소중한 이야기다. 거기에는 부당한 권력에 저항했고 지금은 망각과 싸우고 있는 이들이 등장한다. 카메라는 침묵한 채 폐허가 된 콘크리트 건물을 오랫동안 들여다본다. 그 이야기를, 그 기억을 이제 나는 기억하려 한다. 그와 함께 그 기억들이 왜 그동안 기록되지 못했는지, 왜 이제야 이야기되고 기록되는지 나는 궁금하다.

강곤 (세월호참사작가기록단)

14인권해설

댓글

타인을 비방하거나 혐오가 담긴 글은 예고 없이 삭제합니다.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