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해설: 공동정범

인권해설

“이제 그만 잊고 살았으면 좋겠어요. 언제까지 이래야 해요.”
짧게는 수년에서 길게는 수십 년을 국가폭력의 피해자로 살아가는 이들은, 해를 거듭해도 변하지 않는 것 같은 세상에서, 지난하고 반복되는 싸움에 괴로움을 호소하며 잊고 싶다는 말들을 하곤 한다. 정말 잊고 살 수 있다면 말이다. 이들의 ‘잊고 싶다’는 넋두리의 한편에는 ‘잊히면 어떡하나?’는 두려움이 더 크게 자리하고 있다.
피해자들이 가진 공동의 아픔, 공동의 싸움, 공동의 기억은 수년, 수십 년이 지나도 잊을 수 없을 것이다. 잊은 듯 각자의 삶을 살아갈 수는 있어도, 각인된 그 기억은 톡하고 건드리기만 해도 올라온다.

<공동정범>은 바로 이들의 공동의 기억에 대한 이야기이다. 2009년 1월 20일 화염에 뒤덮인 불타는 용산 남일당 망루로 각인된 ‘용산참사’라는 특정한 시간과 사건에서 출발하지만, 특정 사건의 이야기만이 아니다. 공동의 피해와 기억을 가진 피해자들이, 어떻게 기억하고, 갈등하고 혹은 치유하며 투쟁해 가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이건 말하지 못한 우리들의 이야기이다.”라고 <공동정범>을 본 세월호 가족, 강정 주민, 쌍용차 해고노동자들이 말한 것처럼, 어쩌면 우리가 알면서도 우리가 대면하려 하지 않았던 피해자 집단에서 나타나는 보편적인 이야기일 것이다.
가해자인 국가를 공동의 적으로 맞서 국가의 책임을 물으며 함께 싸우다가도, 국가라는 거대 권력이 전혀 꿈쩍하지 않고 책임지지 않는 막막함을 목도할 때, 어느 순간부터 그 책임의 손끝이 ‘나 때문인가’라며 스스로를 혹은 ‘너 때문이야’라며 가까이 있는 같은 피해자들을 향하곤 한다. 국가폭력은 그렇게 사적이고 내밀하게 작동한다.
우리가 특정 시간과 장소에서 발생한 사회적 사건 그 자체로만 국가폭력을 주목할 때, 그 사건으로 인한 피해자들의 사적이고 관계적인 조각들에 수년 수십 년 동안 내밀하게 작동하는 국가폭력을 놓치게 된다.

우리가 국가폭력의 내밀한 작동을 목격하고 증언할 때, 국가폭력이 피해자 각각을 어떻게 해체해 놓는지 뿐만 아니라, 해체된 듯한 개인들이 왜 다시 피해자 공동체로 모이고, 그 피해를 이야기하고, 투쟁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을 것이다.
결코 ‘잊을 수 없는’ 공동의 아픔, 공동의 싸움, 공동의 기억을 공유한 해체된 각각의 피해자 개인들이 어떻게 사회적으로 재결합하는지를 통해, 역시 공동의 기억을 공유한 ‘잊지 않는’ 우리가 국가폭력에 저항하는 우리의 무기를 다시 들 수 있을 것이다.

이원호 (용산참사 진상규명위원회)

12인권해설

댓글

타인을 비방하거나 혐오가 담긴 글은 예고 없이 삭제합니다.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