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해설: 떨어지는 홍콩의 손을 잡아줘

인권해설

작년 11월 9일, 서울 홍대입구 윗잔다리공원 인근 광장에 모인 사람들은 시위에 나섰다. 홍콩경찰에 쫓겨 의문사한 22세 청년 차우츠록을 추모하는 촛불을 밝히기 위해, 부는 바람을 막으려 촛불을 둘러싸고 동그랗게 웅크린 채 불을 붙이고 또 붙였다. 무대에서 연설을 하던 홍콩 민간인권전선 얀호라이 부의장은 사람들이 추모의 불을 붙이기 시작하자 말을 멈추고 무대에서 내려와 한동안 잠자코 바라보다가 노래를 함께 부르자고 제안했다. 참가자들은 종교와 국경을 넘어, 기독교도였던 고인을 추모하고자 <세인트 할렐루야>를 함께 불렀다. 이 모습은 1948년 제주 4.3사건에서 탄압을 피해 함께 지슬(감자)을 먹던 사람들을 연상시켰다.

 

집회 종료 후 참가자들은 걷고싶은거리로 행진해 ‘레넌월’을 세웠다. 도로 건너편에서는 홍콩경찰을 지지하는 ‘맞불 집회’가 열렸고, 아마 이 집회에 참가했을 이들은 레넌월을 만드는 사람들 앞에서 휴대폰에 ‘오성홍기’와 ‘One China’ 글씨를 띄우고 중국 국가를 목청높여 불렀다. 일부는 격앙되어서 항의와 욕설을 뱉기도 했다. 각자의 ‘동지’가 곁에 있었다.

 

작년 10월 5일 홍콩에서 마스크 금지법이 발효된 이후 시위 진압의 강도가 그 어느 때보다도 거세졌지만, 한편 한국에서는 연대의 열기가 아주 뜨거웠으며 11월에 정점을 이루어 언론보도도 많이 되었다. 비록 심층보도보다는 표면적인 마찰과 충돌상황에 초점을 맞춘 기사가 많았지만 대중의 관심을 환기하고, 장기간 싸우고 있는 홍콩의 시민들에게 힘을 주는 데 그 의의가 컸다.

 

많은 언론보도가 홍콩투쟁을 ‘중국 대 홍콩’으로 다루었지만 기억해야 할 점은, 그것이 전부가 아니라는 것이다. 1989년 천안문 사태 이후 중국 본토에서 많은 사람들이 홍콩으로 건너갔고, 홍콩인들은 중국에서 희생된 사람들을 추모하며 중국인들의 인권을 위해 매년 6월 4일에 촛불을 든다. 사회주의 국가를 표방하는 중국에서 국가에 비판적이라는 이유로 탄압당하는 노동운동가들에게 홍콩의 운동가들이 연대하고, 홍콩의 여성 단체는 중국의 성폭력 사건 문제 해결을 지원한다. 홍콩과 맞붙은 중국의 경제엔진 광둥성 일대는 홍콩시위와 나란히 노동쟁의가 불붙었다. 적대와 배척으로 이해할 수 없는 연결점들이 이 운동 속에 있다.

 

홍콩의 운동가들은 2005년 홍콩에서 열린 WTO 반대 시위에서 용감하게 싸운 한국의 농민들을 기억한다. 국경을 넘어 전 세계 민중의 삶과 권리를 지키기 위해 함께 투쟁 했던 연대의 기억을 가지고 있고, 그러한 교류의 기억과 함께 각국의 민주화운동 역사를 다시금 호출하여 현재화하기도 한다. 나는 이들이 말하는 한국의 민주화운동에 대해 들으며 ‘박제된 민주화운동’이 우리에게 되돌아오는 것을 느꼈다. 한국인들도 좀처럼 생생히 기억하지 않는 일을 홍콩인들의 운동이 다시금 꺼내어 힘을 불어넣어 주고 있다.

 

홍콩 시위 청년과 광주 518 진압군 출신 목사가 만난 BBC 인터뷰에서 홍콩 청년은 말한다. “2014년 우산혁명 이후 홍콩은 희망이 없다고 생각해서 떠나서 다른 나라에서 살고 싶었어요. 지금은 그런 생각을 했던 게 많이 후회돼요.” “‘고생 많았습니다.’ ‘우리가 다 알고 있습니다.’ 라고 말해주고 싶어요.” “하지만 당신들이 버티고 있는 모습을 보고 우리도 포기하지 않을 것입니다.”

 

홍콩보안법 반대 시위에서 홍콩인들은 “오늘 시위에 나오지 않으면, 내일은 나올 수 없다”고 외쳤다. 극심한 탄압 속 자살로 위장되어 살해당하는 것이 두려워 ‘자살하지 않겠다’는 유서를 쓰고 시위에 나가는 청년들이 있었고, 시위대에 대한 성폭력이 고발되었고, 무방비 상태의 시민이 실탄에 맞았고, 대학캠퍼스가 경찰에 포위되어 온통 최루탄으로 뒤덮였다. 무수한 폭력 속에서도 그들은 포기하지 않았다.

 

홍콩보안법과 코로나19 감염 위기로 대규모 야외 집회가 어려워진 상황에서 홍콩인들은 전세계를 연결하는 온라인 집회를 진행하고 있다. 지난달에는 정치적 망명을 떠나다 체포되어 중국에 수감된 12명의 홍콩 젊은이들의 석방을 요청하는 공동행동이 전세계 32개 도시에서 열렸고, 이 기록을 홍콩의 온라인 집회에서 상영했다. 물리적 제약을 넘어선 기억투쟁이 절찬리 진행 중이다.

 

홍콩인과 한국인이 함께 개최한 작년 11월 공동행동의 명칭은 다음과 같다. “우리의 연결로 홍콩에 민주주의를”.

 

끊임이 없다. 세계에 동지가 있다.

그리고 세월호도, 한국도, 아직이다.

 

상현(한-홍 민주동행)

28인권해설

댓글

타인을 비방하거나 혐오가 담긴 글은 예고 없이 삭제합니다.

댓글

*